
준불연 | 일반 | 비고 | |||
---|---|---|---|---|---|
프라임셀 20T | PC-201 | ![]() |
20T*1M*20M | ||
프라임셀 30T | PC-301 | ![]() |
30T*1M*15M | ||
프라임셀 40T | PC-403 | ![]() |
PC-401 | ![]() |
40T*1M*10M |
프라임셀 50T | PC-503 | ![]() |
PC-501 | ![]() |
50T*1M*8M |
프라임셀 60T | PC-603 | ![]() |
PC-601 | ![]() |
60T*1M*7M |
프라임셀 80T | PC-803 | ![]() |
PC-801 | ![]() |
80T*1M*2M(판상형) |
프라임셀 100T | PC-1003 | PC-1001 | 100T*1M*2M(판상형) | ||
프라임셀 120T | PC-1203 | PC-1201 | 120T*1M*2M(판상형) |
저방사 복합단열재란 Low-Emissivity Hybrid Insulation
저방사(Low-Emissivity) 복합단열재란 당사 자체 기술로 제작된 알루미늄의 낮은 방사율(약 0.03)을 이용하여 복사열을 차단하고(약 97%). 해당 알루미늄에 벌집구조로 가공한 폴리에틸렌폼을 부착하여 밀폐된 공기층을 형성하여 열의 3대 이동 요소인 복사, 전도, 대류열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친환경 고효율 건축 단열재다. 따라서 저방사 복합단열재는 기존 열반사단열재로 통용되는 제품에 공기층(cell)을 적용한 방식으로, 알루미늄 층에서 복사열을 1차 차단 후 밀폐된 공기층이 전도열 및 대류열을 2차 차단하는 단열원리를 적용한다.
효율적 복사열 차단 = 에너지 절감 건물의 단열성능 강화 시 약 40~50%의 에너지 절감 가능
열은 건물의 벽체, 지붕, 바닥을 복사, 전도, 대류 현상을 통해 이동한다. 이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복사열 이동은 여름철 열증가와 겨울철 열손실의 주 원인이다.
모든 물체는 다양한 전자기파를 방출하며, 태양에서 방출하는 전자기파 중 건축 단열과 밀접한 관계를 지닌 전자기파는 적외선이다. 이러한 열의 이동은 전도 약 5%, 대류 약 20%, 복사열의 이동이 약 75%를 차지한다.
알루미늄 & 공기층 (cell) 저방사 알루미늄필름과 독립된 밀폐 공기층 적용
방사율 약 0.03~0.05인 박막형 알루미늄을 적용하여 경제적인 단열효과 실현 가능
- 알루미늄층 : 복사열 1차 차단- 공기층(cell) : 밀폐된 공기층이 전도열 및 대류열 2차 차단
보통 알루미늄의 방사율은 3~5%이며, 방사율은 95~97% 정도이다. 유리섬유, 발포제, 섬유소재 등 대부분의 건축 자재 방사율은 70%를 넘는다.
(흑체 방사율 100% 기준 / 수치가 낮을수록 성능이 뛰어나다.)
단열재의 반사 및 방사율 비교
고효율 단열성능

기존 부피단열재의 약 60~70% 정도 얇은 두께로도 동일한 단열성능을 지니며,
유연한 재질로 시공이 간편하고 기밀 시공이 가능하여 열교 및 냉고 차단능력이 우수하다.
또한 방습층이 내재되어 습기함유에 따른 단열 성능의 저하가 현저한 부피단열재에
비해 수명 및 기능이 더 우수한 고효율 단열재다.
친환경 제조공법

알루미늄 박판과 타공폼의 부착방식은 열융착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HCHO, TVOCS 등의 공기 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화학접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므로 공기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는다.
화재 안전성 확보

기존 폴리에틸렌폼에 난연성능을 추가하였으며, 알루미늄 필름에는
불연성능의 유리섬유를 부착하여 내화성능을 높였다.
클릭공법

열교, 냉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구조체 접합부위의 올바른 단열 설계와
단열재의 시공 시 단절되는 부분이 없도록 정밀한 시공이 필요하다.
이러한 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반턱이음공법이 클릭공법이다. (특허 보유)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국토교총부 고시 제 2017-881호) [시행일 2018년 9월 1일] 제2장 1정 6조(건축부문의 의무사항)다.
2)해달 벽·바닥·지분 등의 부위별 전체 구성재료와 동일한 시료에 대하여 KS F2277(건축용 구성재의 단열성 측정방법)에 의한 열저항 또는 열관류율 측정값(국가공인시험기관의 KOLAS 인정마크가 표시된 시험성적서의 값)이 별표1의 부위별 열관류율에 만족하는 경우에는 적합한 것으로 보며, 시료의 공기층(단열재 내부의 공기층 포함) 두께와 동일하면서 기타 구성 재료의 두께가 시료보다 증가한 경우와 공기층을 제외한 시료에 대한 측정값이 기준에 만족하고 시료 내부에 공기층을 추가하는 경우에도 적합한 것으로 본다. 단, 공기층이 포함된 경우에는 시공 시에 공기층 두께를 동일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단열재 추천두께 에너지 설계 기준(2018년 9월 1일부터 시행)
[단위:mm, W/㎡·K]
지 역 | 건축물의 부위 | 중부1 | 중부2 | 남부 | 제주도 | ||||||||||||||
---|---|---|---|---|---|---|---|---|---|---|---|---|---|---|---|---|---|---|---|
가 | 나 | 다 | 라 | 가 | 나 | 다 | 라 | 가 | 나 | 다 | 라 | 가 | 나 | 다 | 라 | ||||
거실 외벽 |
외기 직접 | 공동주택 | 두께 | 220 | 255 | 295 | 325 | 190 | 225 | 260 | 285 | 145 | 170 | 200 | 220 | 110 | 130 | 145 | 165 |
열관류율 | 0.15↓ | 0.17↓ | 0.22↓ | 0.29↓ | |||||||||||||||
공동주택외 | 두께 | 190 | 225 | 260 | 285 | 135 | 155 | 180 | 200 | 100 | 115 | 130 | 145 | 75 | 90 | 100 | 110 | ||
열관류율 | 0.17↓ | 0.24↓ | 0.32↓ | 0.41↓ | |||||||||||||||
최상층 거실 반자 or 지붕 |
외기 직접 | 두께 | 220 | 260 | 295 | 330 | 220 | 260 | 295 | 330 | 180 | 215 | 245 | 270 | 130 | 150 | 175 | 190 | |
열관류율 | 0.15↓ | 0.18↓ | 0.25↓ |
중부1: 강원도(고성, 속초, 양양, 강릉, 동해 제외), 경기도(연천, 포천, 가평, 남양주, 의정부, 양주, 동두천, 파주, 강화), 충청북도(제천), 경상북도(봉화, 청송)
중부2: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인천광역시, 강원도(고성, 속초, 양양, 강릉, 동해), 경기(연천, 포천, 가평, 남양주, 의정부, 양주, 동두천, 파주, 강화 제외), 충청북도(제천 제외), 충청남도, 경상남도(봉화, 청송, 울진, 영덕, 포항, 경주, 청도, 경산 제외), 전라북도, 경상남도(거창, 함양 제외)
남부: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경상북도(울진, 영덕, 포항, 경주, 청도, 경산), 경상남도(거창, 함양 제외)
단열재의 등급 분류 | 가 | 나 | 다 | 라 | |
---|---|---|---|---|---|
범위 |
W/㎡·K | 0.034이하 | 0.035~0.040 | 0.041~0.046 | 0.047~0.051 |
Kcal/mh℃ | 0.029이하 | 0.030~0.034 | 0.035~0.039 | 0.040~0.044 |
|
해당제품 |
|
|
|
시험성적서 (2019.1월말 기준)
프라임셀 준불연
모델명 | 두께 | 마감재 | 열관류율 [W/㎡·K] |
시험구조체 구성 (㎜) | |||
---|---|---|---|---|---|---|---|
콘크리트 | 단열재 | 공기층 | 마감재 | ||||
PC-0403 | 40T | 화강석 | 0.27 | 150 | 40 | 40 | 30 |
조적 | 0.28 | 100 | 40 | 40 | 90 | ||
징크판넬 | 0.27 | 100 | 40 | 60 | 0.6 | ||
PC-0503 | 50T | 화강석 | 0.25 | 100 | 50 | 40 | 30 |
라임스톤 | 0.23 | 150 | 50 | 40 | 30 | ||
조적 | 0.27 | 100 | 50 | 40 | 90 | ||
AL복합판넬 | 0.24 | 150 | 50 | 66 | 4 | ||
PC-0603 | 60T | 화강석 | 0.21 | 150 | 60 | 40 | 30 |
조적 | 0.21 | 150 | 60 | 60 | 90 | ||
AL복합판넬 | 0.21 | 150 | 60 | 60 | 4 | ||
포세린판넬 | 0.21 | 150 | 60 | 50 | 17 | ||
징크판넬 | 0.25 | 150 | 60 | 70 | 0.6 | ||
복합구조 | 0.20 | 석고보드+XPS+콘크리트+단열재(60T)+공기층+화강석 | |||||
PC-0803 | 80T | 화강석 | 0.16 | 120 | 80 | 40 | 30 |
조적 | 0.19 | 100 | 80 | 30 | 90 | ||
베이스판넬 | 0.21 | 120 | 80 | 0 | 30 | ||
AL복합판넬 | 0.16 | 120 | 80 | 70 | 4 | ||
PC-1003 | 100T | 화강석 | 0.15 | 100 | 100 | 0 | 30 |
PC-1203 | 120T | 조적 | 0.14 | 100 | 120 | 0 | 90 |
베이스판넬 | 0.14 | 100 | 120 | 0 | 30 | ||
AL복합판넬 | 0.11 | 100 | 120 | 60 | 4 | ||
테라코타 | 0.12 | 100 | 120 | 0 | 18 |
프라임셀 일반
모델명 | 두께 | 마감재 | 열관류율 [W/㎡·K] |
시험구조체 구성 (㎜) | |||
---|---|---|---|---|---|---|---|
콘크리트 | 단열재 | 공기층 | 마감재 | ||||
PC-0301 | 30T | 베이스판넬 | 0.31 | 150 | 30 | 70 | 30 |
화강석 | 0.34 | 150 | 30 | 55 | 30 | ||
조적 | 0.34 | 100 | 30 | 52 | 90 | ||
PC-0401 | 40T | 복합구조 | 0.24 | 석고보드+XPS+콘크리트+단열재(40T)+공기층+화강석 | |||
조적 | 0.26 | 120 | 40 | 40 | 90 | ||
베이스판넬 | 0.25 | 150 | 40 | 30 | 30 | ||
PC-0501 | 50T | 화강석 | 0.23 | 150 | 50 | 30 | 30 |
AL복합판넬 | 0.25 | 150 | 50 | 70 | 4 | ||
징크판넬 | 0.27 | 150 | 50 | 30 | 0.6 | ||
PC-0601 | 60T | AL복합판넬 | 0.21 | 150 | 60 | 40 | 4 |
베이스판넬 | 0.20 | 150 | 60 | 40 | 30 | ||
징크판넬 | 0.20 | 150 | 60 | 60 | 0.6 | ||
테라코타 | 0.20 | 150 | 60 | 40 | 28 | ||
석고보드 | 0.27 | 150 | 60 | 50 | 19 | ||
PC-0801 | 80T | 화강석 | 0.19 | 100 | 80 | 0 | 30 |
조적 | 0.20 | 150 | 80 | 30 | 30 | ||
AL복합판넬 | 0.20 | 150 | 80 | 50 | 30 | ||
베이스판넬 | 0.19 | 120 | 80 | 70 | 30 | ||
석고보드 | 0.18 | 150 | 80 | 30 | 12.5 | ||
PC-1001 | 100T | 화강석 | 0.14 | 100 | 100 | 0 | 30 |
PC-1201 | 120T | 화강석 | 0.10 | 100 | 120 | 0 | 30 |
시공방법
시공단면도 | 시공예시 | ||
---|---|---|---|
화강석 | ![]() |
![]() |
![]() |
패널 | ![]() |
![]() |
![]() |
조적 | ![]() |
![]() |
![]() |